기타산/100대명산 106

화왕산(도성암~1코스~정상~2코스~도성암)

산림청 선정 100대명산 도전 89번째 산행지는 창녕 화왕산이다. 화왕산은 높이 757m의 산으로 봄의 진달래와 정상일대의 억새로 유명한 산이다. 정상에는 억새밭이 장관을 이루고 있으며 둘레 2.7㎞의 화왕산성은 임진왜란 당시 곽재우 장군과 의병이 분전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 1박2일간 경상권 남부 4산(금정산, 천성산, 화왕산, 비슬산) 등정을 목표로 시작한 첫날 금정산과 천성산을 등정한 후 화왕산자연휴양림에서 숙박을 하고 화왕산 들머리인 도성암에서 둘째날 산행을 시작하였다. 산행코스 : 도성암~1코스~배암~정상~삼지~2코스~도성암 오늘산행의 등산지도(빨간색인 1코스로 등산을 하고 파란색인 2코스로 하산) 트랭글앱의 산행기록 자하곡매표소를 지나 도성암 갈림길 직전에 주차장이 있다. 주말과 공휴일에는 주..

천성산(미타암~천성산2봉~원적봉~잔치봉~미타암)

산림청 선정 100대 명산 88번째 산행지는 천성산이다. 천성산(千聖山)은 경남 양산시에 있는 높이 920m의 산이다. 천성산의 유래는 원효대사가 천명 대중을 이끌고 이곳에 이르러 89암자를 건립하고 화엄경을 설법하여 천명 대중을 모두 득도하게 한 곳이므로 그 이름을 천성산(千聖, 천명의 성인)이라 전해진다. 봄이면 진달래와 철쭉꽃이 만산홍을 이루고, 가을이면 긴 억새가 온 산을 뒤덮어 환상의 등산코스로 각광받고 있다. 산 정상에는 초원과 습지가 발달해 있으며 습지에는 도룡뇽을 비롯한 희귀한 동식물들이 많이 서식하고 있으며 경부고속철도 공사시 ○○스님의 도룡뇽 소송으로 유명한 곳이기도 하다. 산행코스 : 미타암~철쭉광장~천성산2봉(정상)~철쭉광장~원적봉~잔치봉~원적봉~미타암 오늘산행의 산행지도(빨간색선 ..

금정산(범어사~북문~정상~금샘~범어사)

산림청 선정 100대 명산 87번째 산행지는 금정산이다. 금정산은 백두대간의 끝자락에 해당하는 산으로, 주봉(主峰) 인 고당봉은 낙동강 지류와 동래구를 흐르는 수영강(水營江)의 분수계를 이루는 화강암의 봉우리이며 북으로 장군봉(727m), 남쪽으로 상계봉(638m)을 거쳐 백양산(642m)까지 산세가 이어져 있고 그 사이로 원효봉·의상봉·미륵봉·대륙봉·파류봉·동제봉 등의 준봉이 나타난다. 우리나라 5대 사찰의 하나인 범어사를 품고 있으며 우리나라 최대의 산성인 금정산성을 품고 있다.(출처 : 한국의 산하) 평소 거리가 멀어 잘 가기 힘들었던 산이라 1박2일 일정으로 경상권 4산 산행을 계획하고 첫날 금정산과 천성산을 둘째날 화왕산과 비슬산을 산행을 하였다. 산행코스 : 범어사~북문~정상~금샘~범어사 오늘..

천태산② (주차장~영국사~A코스~정상~D코스~상어흔들바위~주차장)

충북 영동군과 충남 금산군에 걸쳐 있는 높이 715m의 산이다. 암릉과 각종 수목이 계곡의 맑은 물과 어우러진 경치가 '설악산' 못지않게 수려해서 '충북의 설악산'이라고도 불린다고 한다. 민주지산 최단코스 산행을 마치고 1일2산의 두번째산인 천태산에 도착하였다. 지난번 A코스로 올라 C코스로 하산한 적이 있으며 올라가는 코스로는 A코스가 암릉이 많아 짜릿한 맛이 있으며 하산코스는 전망이 좋은 D코스가 좋은것 같다. 최단코스 산행을 위해서는 영국사에 주차를 하고 A코스로 올랐다가 다시 하산하는 코스로 2시간이면 충분하리하고 생각된다. 오늘산행의 등산지도(주차장에서 영국사를 거쳐 A코스로 등산한후 D코스로 하산하여 원점회귀하는 코스이다) 트랭글앱의 산행기록(휴식시간은 앱이 꺼진 시간으로 실제 소요시간은 2시..

민주지산② 최단코스(휴양림~정상왕복)

현재 불리는 '민주지산'이라는 이름은 일제강점기에 처음 공식화되었는데, 일제가 없던 지명을 지어내지는 않았다. 원래 지역주민들은 이 산을 민두름산(밋밋한 산)이라고 불렀는데, 이를 한자로 음차하면서 민두름을 민주지(岷周之)라고 하였던 것. 이는 이두식 표기이다. '두름'에 대응하여 두루 주(周)를 사용한 것. 그래서 한자로 민(岷) 대신 민(眠)이라고 쓰는 경우도 있다. 어차피 음이 중요하지 한자의 뜻과는 상관이 없기 때문이다. 한자를 잘 모르는 현대 한국인들은 민주주의의 민주와 관련이 있지 않을까 지레짐작하기도 하지만 전혀 관련이 없다.(출처:위키백과) 민주지산은 충북 영동, 경북 김천, 전북 무주의 경계에 있는 높이 1,242m의 산이다. 산의 높이에 비해 등산코스는 비교적 평이하여 그리 힘들지 않게..

대둔산②(동심바위~금강구름다리~삼선계단~마천대~낙조대~용문굴~케이블카~주차장)

대둔(大芚)이라는 명칭은 ‘인적이 드문 벽산 두메산골의 험준하고 큰 산봉우리’를 의미한다고 한다. 호남의 금강산으로 불릴 정도로 빼어난 절경과 기암괴석이 많고 특히 가을 단풍과 겨울 설경이 아름답기로 유명하다. 지난번 등산때 짙은 안개 때문에 절경을 제대로 보지 못한 아쉬움에 다시 찾았다. 주차장을 출발하여 구름다리와 삼선계단을 경유하여 정상인 마천대를 등정한 후 낙조대를 들렀다가 용문굴 방향으로 하산하다가 다시 케이블카 정류장을 경유하여 주차장으로 원점회귀하는 코스로 산행을 진행하였다. 산행코스 : 주차장~동심바위~금강구름다리~삼선계단~마천대~낙조대~용문굴~칠성봉전망대~케이블카정류장~동심바위~주차장 오늘산행의 산행지도(빨간색 실선코스로 등정하였다가 파란색 실선 코스로 하산) 트랭글앱의 산행기록이다 주차..

운장산② 최단코스(피암목재~할목재~서봉(칠성대)~정상 왕복)

운장산은 높이 1,125.8m로 노령산맥의 주봉으로, 이 일대는 800~1,000m의 고산지대를 이루며, 연석산 등과 함께 하나의 웅장한 산지를 형성하고 있다. 산체는 동봉·중봉·서봉의 3개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봉이 최고봉을 이룬다. 구름에 가리워진 시간이 길다 해서 운장산이라고 했다고 한다. 지난번 내처사에서 출발하여 동봉, 서봉을 경유하여 독자동으로 하산한 적이 있어 이번에는 피암목재에서 정상을 등정한후 원점회귀하는 코스로 일정을 잡았다. 운장산과 구봉산을 연계하여 산행할 수도 있지만 체력적인 부담으로 전날 구봉산을 등산하고 오늘 운장산을 별도로 최단코스로 산행하였다. 산행코스 : 피암목재~할목재~서봉(칠성대)~운장산 정상(왕복) 산행거리 : 피암목재~할목재(1.6㎞)~서봉(0.6㎞)~운장대..

구봉산(시내산교회~정상~돈내미재~구름다리(5봉)~구봉산주차장)

운장산의 한줄기인 구봉산은 운장산에서 북동쪽으로 6km 뾰족하게 솟구친 아홉개의 봉우리들이 우뚝 서서 다가설 듯이 내려다 보고 있는 산이 구봉산이다. 구봉산의 정상인 장군봉(997m)은 호남의 유명한 산을 조망할 수 있는 특이한 봉우리로 북쪽으로는 복두봉(1,007m)과 운장산(1,126m)이 한눈에 들어오고 남쪽으로는 옥녀봉(738m)과 부귀산(806m) 그리고 남쪽으로 만덕산(762m)이 조망되고 북쪽으로는 명덕봉(863m)과 명도봉(846m)이 그리고 대둔산(870m)이 분명하게 보이며 남동쪽으로는 덕유산과 지리산의 웅장한 모습이 실루엣을 이루고 있음을 볼 수 있다.(출처 : 백과사전) 운장산과 구봉산은 연계산행이 가능한 산으로 피암목재에서 출발하여 운장선 정상을 찍고 곰직이산과 복두봉을 거쳐 구봉..

칠갑산② (천장호 출렁다리~천장로~정상왕복)

산정에서 능선이 여러 곳으로 뻗어 있고 지천과 잉화달천이 계곡을 싸고 돌아 7곳의 명당자리가 있다 하여 칠갑산이라 불린다고 하며, 또 다른 설로는 옛날 백제는 이 산을 사비성 정북방의 진산(鎭山)으로 성스럽게 여겨 제천의식을 행하였으며 산 이름을 만물생성의 7대 근원 七자와 싹이 난다는 뜻의 甲자로 생명의 시원(始源) 七甲山이라 경칭하여 왔다고 한다. ‘충남의 알프스’라는 별명이 있을 정도로 산세가 거칠고 험준하며 사람들의 발길이 쉽게 닿지 않아 울창한 숲을 그대로 간직한 산이다. 칠갑산은 두번째 산행으로 첫산행은 장곡사에서 사찰로를 이용 정상을 올랐다가 삼형제봉을 경유하여 장곡로로 하산한 적이 있다. 이번 산행은 천장로를 따라 정상을 올랐다가 원점회귀하는 코스이다. 오늘산행의 산행코스로 천장호 출렁다리..

오서산(성연주차장~시루봉~정상~전망대~북절터~성연주차장)

충남 1일 2산을 목표로 가을억새와 서해조망이 아름다운 오서산과 천장호 출렁다리와 콩밭메는 아낙네가 있는 칠갑산을 찾았다. 오늘 산행은 시간적 여유가 있어 오서산은 최단코스 산행이 아닌 능선산행을 하였다. 오서산 최단코스는 오서산휴양림에서 정상을 왕복하는 코스로 거리가 왕복 4㎞이다. 산림청 선정 100대 명산 도전과 병행하고 있는 블랙야크 100대명산 도전으로 블랙야크앱에서 발도장을 찍은 67번째 산이다. 오늘산행의 산행지도로 보령시에 위치한 성연주차장에서 출발하여 시루봉을 경유 정상을 등정하고 능선을 따라 오서정이 있던 전망대에 들렀다가 다시 성연주차장으로 하산하는 코스이다(빨간색으로 올랐다가 파란색으로 하산하는 코스) 트랭글앱의 산행기록이다. 성연주차장에 주차를 하고 등산을 시작하면서 올려다 본 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