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산/국립공원 35

소백산(어의곡~비로봉~국망봉~늦은맥이재~어의곡)

1987년 18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면적은 322.011㎢로 지리산, 설악산, 오대산에 이어 산악형 국립공원 가운데 네 번째로 넓다. 해발 1,439.5m인 비로봉을 중심으로 국망봉(1,420.8m), 연화봉(1,383m), 도솔봉(1,314.2m) 등이 백두대간 마루금 상에 솟아있다. 퇴계 이황이“울긋불긋한 것이 꼭 비단 장막 속을 거니는 것 같고 호사스러운 잔치 자리에 왕림한 기분”이라며 소백산 철쭉의 아름다움을 묘사한 것처럼 수많은 탐방객이 봄철 소백산국립공원을 방문하고 있으며, 겨울이면 장중한 백두대간 위에 설화가 만발하는 절경을 이룬다.(출처 : 국립공원관리공단) 산림청 선정 100대 명산 37번째 산행지는 국립공원 소백산이다. 소백산은 많이 가본 산 중의 한곳이나 이번에는 한번도 가보..

계룡산(동학사~관음봉~삼불봉~남매탑~큰배재~천정지원센타)

충남 제일의 명산 계룡산국립공원은 1968년 우리나라 2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면적은 65.335㎢이다. 계룡산 정상인 천황봉(847m)을 중심으로 16개에 달하는 봉우리 사이에 약 10개의 계곡이 형성되어 있다. 산의 능선이 닭의 벼슬을 쓴 용의 모습과 닮아 계룡(鷄龍)으로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계룡산은 산세가 아늑하면서도 변화무쌍하고 서울, 대전 등 대도시에서도 일일 탐방이 가능해 연중 탐방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곳이다. 풍수지리학적으로도 뛰어나 조선의 수도로도 거론되었으며 나라의 제사를 지내던 신성한 산이기도 하다.(출처: 국립공원관리공단) 2020년 100대명산 도전 18번째 국립공원탐방 5번째 산은 계룡산국립공원이다. 계룡산은 천년고찰인 동학사와 갑사가 위치하고 있으며 높이는 높지 않..

속리산(법주사~문장대~천왕봉~법주사)

1970년 6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예로부터 제 2금강 또는 소금강이라 불릴 만큼 경관이 빼어나다. 총 면적 274.766k㎡에 달하는 속리산국립공원은 충북과 경북의 여러 지역에 걸쳐 바위로 이루어진 산으로, 주요 봉우리인 천왕봉과 비로봉, 문장대는 백두대간의 장엄한 산줄기를 잇고 있어 암봉과 암릉이 잘 발달되어 있다. 속리산에는 많은 산들이 접해 있으며, 남쪽의 천왕봉(1,058m)을 중심으로 비로봉, 문장대, 관음봉 등 8개의 봉우리가 활처럼 휘어져 뻗어나간다.(출처 : 국립공원관리공단) 2020년 100대명산 도전 17번째 산행지는 국립공원 속리산이다. 정상은 해발 1,058m의 천왕봉이나, 높이 1,054m로 차이가 크지 않고 정상에서의 조망 또한 뛰어나서 일반인들은 문장대를 정상으로 생각..

월악산(보덕암~하봉~중봉~영봉~보덕암)

월악산국립공원 1984년 17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소백산을 지나 속리산으로 연결되는 백두대간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다. 월악산은 기암절벽이 치솟아 산세가 험준하고 예로부터 신령스러운 산으로 여겨져 주봉은 영봉(1,097m)으로 불리고 있다. 만수봉, 금수산, 신선봉, 도락산 등 22개가 넘는 크고 작은 산과 봉우리를 거느리고 있다. 충북 제천시, 단양군, 충주시와 경북 문경시가 접해 있으며 수도권에서 가깝고 충주 호반과 어우러진 탐방지로 사계절 탐방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곳이다. 월악산의 월(月)은 신라시대에 '산'을 달(達)이라 한 것에서 기원한 것이며, 악(岳)이라는 글자 또한 산이다. 결국 월악산은 '산산산'이다.(출처:국립공원관리공단) 2020년에 시작한 국립공원 탐방의 3번째 산행지는 ..

오대산(상원사~비로봉~두로령~상원사)

1975년 11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면적은 326.348㎢이다. 해발 1,563m의 비로봉을 주봉으로 동대산(1,434m), 두로봉(1,422m), 상왕봉(1,491m), 호령봉(1,561m) 등 다섯 봉우리가 병풍처럼 늘어서 있고 동쪽으로 따로 떨어져나온 노인봉(1,338m) 아래로는 천하의 절경 소금강이 자리하고 있다. 또한 서쪽에는 설경이 아름다운 계방산(1,577m)이 위치하고 있다. 오대산국립공원은 우리나라 문수신앙의 성지이자 조선왕조실록을 보관하였던 오대산 사고가 있던 역사적 장소이자 백두대간의 중추로 생태적 가치가 높은 장소이다.(출처:국립공원관리공단) 산행일자 : 2020. 2.15.(토) 산행코스 : 상원사~적멸보궁~비로봉~상왕봉~두로령~북대사~상원사 산행거리 : 총 14.1㎞(..

치악산(구룡사~사다리병창길~비로봉~계곡길)

한반도 중부지방 내륙산간에 위치한 치악산은 1984년 우리나라 16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공원면적은 175.668㎢로, 주봉인 비로봉(1,288m)을 중심으로 동쪽은 횡성군, 서쪽은 원주시와 접하고 있다. 치악산은 남쪽 남대봉과 북쪽의 매화산 등 1,000m가 넘는 고봉들 사이에 가파른 계곡들이 자리해 예로부터 산세가 뛰어나고 험난하기로 이름이 높다. 고속도로망과 철도가 발달하여 접근성이 뛰어나고 수도권에서 1일탐방이 가능한 근거리에 있어 많은 탐방객들이 치악산국립공원을 방문하고 있다.(출처:국립공원관리공단) 올해 목표로 삼은 17개 국립공원 탐방의 첫번째 산행지는 치악산이다. 산행일자 : 2020. 2. 8.(토) 산행코스 : 구룡사~세렴폭포~사다리병창길~비로봉 정상~계곡길~구룡사 산행거리 : ..

한라산(성판악~백록담~관음사)

태풍 미탁의 영향으로 여행기간 내내 비바람이 몰아치다가 태풍이 지나간후 맑은 하늘을 볼수 있어 한라산으로 향했다. 총산행거리 : 성판악~백록담(9.6㎞), 사라오름입구~사라오름(0.6㎞ 왕복 1.2㎞) 백록담~관음사(8.7㎞) 총거리 19.5㎞ 산행일 : 2019.10.5(토) 성판악휴게소에 6시 50분쯤 도착하였으나 주차장은 만차로 벌써 도로변에 주차를 하고 있었다. 그래도 이른시간이라 주차장에서 가까운곳에 주차를 할 수 있었다. 7시정각 산행시작 08:30 사라오름 도착 10:20 백록담 도착 11:10 하산시작 14:00 관음사주차장 도착 (총산행시간 7시간, 백록담에서 식사와 경치감상으로 50분) 관음사주차장에서 성판악주차장으로 가는 버스편은 한번 갈아타고 갈수 있으나 배차시간이 길어 주차장에서 ..

월출산(천황사~구름다리~천황봉~바람폭포~천황사)

등산코스 : 천황사입구~천황사~구름다리~사자봉~천황봉(정상)~육형제봉전망대~바람폭포~천황사입구(원점회귀) 산행시간 : 3시간 30분 산행일자 : 2013. 12. 8. 나홀로 산행 이번 산행지는 거리가 멀어 평소 찾기 힘들었던 호남의 명산 월출산이다. 시간적인 제약으로 인해 천황사에서 구름다리와 천황봉을 거쳐 바람폭포로 하산하는 원점회귀 코스를 잡았으나 왠지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 천황봉에서 구정봉을 거쳐 도갑사로 하산하거나 반대로 도갑사에서 구정봉, 천황봉을 거쳐 구름다리로 하산하는 종주코스가 월출산의 진면목을 볼 수 있는 코스로 천황봉에서 구정봉, 향로봉으로 이어지는 능선길이 월출산 산행의 백미라고 한다. 집출발 : 09:15 천황사 입구 도착 : 10:09 천황사 : 10:28 구름다리 도착 : 1..

제비봉(충북 단양)

등산코스 : 장회나루~제비봉~사봉~얼음골 산행시간 : 5시간 산행일자 : 2013. 11. 9(토) 10:35 장회나루에서 등산시작 12:15 제비봉 도착 13:00 점심식사 완료 14:30 사봉도착 15:30 얼음골 도착 장회나루에서 유람선을 타고 구담봉 방면에서 바라보면 제비가 날개를 활짝 펼친 형상의 제비봉을 만날 수 있다. 지금 막 날아오르려는 것인지 창공에서 내려앉으려는 것인지는 알 수 없지만 제비의 큰 날개는 충주호의 넉넉한 풍광만큼이나 힘이 넘쳐 보인다. 충주호 물길을 따라 함께 자리한 구담봉과 옥순봉의 절경에 절대 뒤지지 않을 풍모를 자랑하고 있는 제비봉은 가을단풍으로 유명한 설마동계곡을 끼고 있어 가을산행을 사랑하는 등반객들에게 보배 같은 곳이다. 장회휴게소를 기점으로 시작된 코스는 충주..

팔영산2(고흥)

100대 명산에 이름을 올린 산 서울에서는 가기 힘든곳....다시 찾은 팔영산 지난번 산행시 안개로 인해 아무것도 보지 못한 것이 아쉬워 추석연휴를 이용해 다시 찾았다. 황금물결을 이룬 평야와 푸른바다와 수많은 섬들로 이루어진 다도해해상국립공원 그야말로 장관이다. 등산코스 : 능가사~흔들바위~유영봉(1봉)~성주봉(2봉)~생황봉(3봉)~사자봉(4봉)~오로봉(5봉)~두류봉(6봉)~칠성봉(7봉)~적취봉(8봉)~탑재~야영장~능가사 산행시간 : 3시간 매표를 하고 들어서면 나타나는 능가사, 왼쪽으로 쭉 올라가면 야영장이 나타난다. 소망탑에서부터 산행시작 산행지도 산행들머리인 소망탑 흔들바위 능선을 올라 올려다 본 유영봉(1봉) 유영봉에서 본 2봉과 3봉 유영봉에서 내려다본 야영장과 황금벌판 2봉에서 내려다 본 유..